해란초아재비 해란초아재비유라시아 원산으로 우리나라에서는 경북 영천. 경기도 양주. 제주도에서 발견되고 있으며,뿌리를 내리지 않고 땅 위를 뻗는 줄기가 있고 잎은 극형 또는 화살촉 모양의 형태적인 특징으로 구분되며,꽃은 7월에서 10월 사이에 핀다.줄기에 미세한 털이 있으며 2022년 3월 8일 외래식물종으로 등록되었다. 질경이목 질경이과 해란초아재비속 여러해살이 외래식물 7. 3.레드포드 여름 2025.07.02
자귀나무꽃 장마비가 내리던날 오후유등천 산책길에 담은 자귀나무꽃(silk tree)입니다.6. 25. 자귀나무. 합환목.자귀나무는 장미목, 콩과에 속하는 낙엽소교목으로 5m까지 자란다. 유등천의 사랑나무 자귀나무는 부부 금실을 상징하는 나무이다. 꽃말은 '가슴이 두근거림'. '환희' 이다. 폭우로 인해 유등천 산책길에 하천물이 범람하여 꽃밭이 물에 잠겼습니다7. 3.레드포드 여름 2025.07.02
닭의난초 태안 해안가 숲에서 담은 야생화입니다.털중나리. 대극. 하늘산제비난초. 타래난. 원추리. 닭의난초. 초피나무. 아이리스.6. 26. 털중나리 대극 하늘산제비란 타래난초 원추리 닭의난초 초피나무 아침엔 간간이 비가 내렸으나 오후에는 좋은 날씨 속에 야생화 출사를 다녀왔습니다7. 3.레드포드 여름 2025.07.02
만리포해수욕장 야생화 출사길에 담은 만리포 해수욕장의 풍경입니다6. 26. 만리포해수욕장 상징탑 및 무대에는 갈매기가 한가로이 노닐고 7월 1일부터 해수욕장 개장 예정 금빛 모래사장과 파아란 하늘에 흰구름이 아름답던 날7. 3. 레드포드 여름 2025.07.02
꼬마붉은병정지의 꼬마붉은열매지의 태안 병아리난초 자생지 가까운 곳에서 만난 '영국병정지의' 입니다.2월에 보았을 때는 숙주인 소나무 고목이 꽂꽂이 서 있었는데오늘 보니 완전 썩어서 뭉그러졌습니다.이 예쁜 모습을 볼날도 멀지않은듯하여 왠지 안타까운 마음이 듭니다.자연의 순리이니 어찌할 도리가 없는게 아쉽습니다.6. 26. 꼬마붉은열매지의라는 정명외에 돼지코라는 애칭도 있지요. 소나무의 탄생 '꼬마요정컵지의' 이곳에서는 '꼬마붉은열매지의' 와 '꼬마요정컵지의'를 함께 볼 수 있습니다. 비록 숙주는 부셔져 흙으로 돌아 가더라도꼬마붉은열매지의는 살아남아 예쁜 모습을 계속 볼 수 있기를...7. 2.레드포드 여름 2025.07.02
병아리난초 충남 태안에서 담아 온 병아리난초입니다.날씨는 31도를 넘는 폭염이었지만 한창 개화 중이라 싱싱한 꽃을 보았습니다.6. 26. 묵은지와 함께 소나무 밑에 무더기로 군집하여 자라는 병아리난초 귀한 벌 한마리가 꽃을 찾아 날아들었습니다. 산모기가 극성이지만 뙤약볕아래에서 야생화를 담으려는 나의 의지를 꺾지는 못하지요7. 2.레드포드 여름 2025.07.02
왜박주가리 왜박주가리 덩굴성 여러해살이풀이다. 뿌리는 수평으로 퍼지며, 뿌리줄기는 짧다. 줄기는 가늘고 다른 물체를 감고 올라가며, 털이 없다. 잎은 마주나며, 피침형으로 길이 3-10cm, 폭 1-5cm, 끝은 길게 뾰족해지고 밑부분은 심장형이다. 잎자루는 1-2cm이다. 뒷면은 녹색을 띤다. 꽃은 잎겨드랑이에 달리고 지름 4-5mm, 흑자색이다. 꽃받침은 5갈래로 갈라진다. 열매는 골돌로 좁은 피침형이다. 꽃은 6~7월에 핀다. 오늘 야탐 중에 만났습니다. 가늘고 야리야리한 줄기가 한 포기 풀줄기를 타고 오르며 흑자색의 꽃을 피웠습니다. 삼각대를 안 가져갔더니 살랑시 부는 바람에도 시계추처럼 흔들려초점 잡기가 어렵습니다. 나무사이로 빛이 들어올 때 몇 장 담아 봅니다. 몇 개체가 더 있으나 어려서 아직은 꽃대.. 여름 2025.06.23
털중나리 털중나리 산지에서 흔히 자라며 높이 50∼100cm이다.줄기는 곧추서고 윗부분이 약간 갈라지며 전체에 잿빛의 잔털이 난다. 비늘줄기는 길이 2∼4cm, 지름 15∼25mm로 달걀 모양 타원형이다. 잎은 어긋나고 줄 모양이거나 바소꼴이며 길이 3∼7cm, 나비 3∼8mm이다. 둔한 녹색이고 끝이 뭉뚝하거나 뾰족하며 양면에 잔털이 빽빽이 난다.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잎자루가 없으며 위쪽으로 갈수록 크기가 작아진다.꽃은 6∼8월에 피는데,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1∼5개씩 밑을 향하여 달린다. 화피갈래조각은 바소꼴이고 6개이며 길이 4∼7cm, 나비 10∼15mm이다. 뒤쪽으로 젖혀지고, 안쪽에는 검은빛 또는 자줏빛 반점이 있다. 6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은 모두 꽃 밖으로 길게 나온다. 꽃밥은 노란빛을 띤 빨.. 여름 2025.06.19
마이산 옥잠난초와 으름난초 마이산 옥잠난초/으름난초6.18 수요일 마이산으로 옥잠난초와 으름난초를 보려고 다녀왔습니다. 폭염이 기승을 부리던 어제 아침 마이산 남부주차장에 09:30분 도착하여 벚나무 그늘밑에 애마를 주차하고,배낭과 모자를 챙겨쓰고 스틱을 꺼내든 다음 으름난초 자생지를 향해 빠른 걸음으로 이동합니다. 엊그제 내린비로 인해 숲 속은 습도가 높으나 상쾌합니다.아무도 없는 숲길을 따라 오르다 왼쪽 옥잠난초 자생지로 들어섭니다.이제 피기 시작하는 옥잠난초는 고라니가 뜯어먹은 것 몇 촉 외에는상태가 좋습니다. 카메라를 세팅하려고 배낭을 열어보니 아차차! 등산화 끈을 묶느라 조수석에 놓아둔 카메라를 챙기지 않았다~이를 어쩌니!잠시 멍한 상태로 난초만 바라보다 주차장까지 다시 갔다 오기에는 날씨가 너무 무덥고 귀찮아,그냥 손에.. 여름 2025.06.19
엉겅퀴꽃 엉겅퀴는 국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 로, 한국, 일본, 중국 북동부에 분포하며, 가시나물 또는 항가새 라고도 불립니다. 엉겅퀴는6-8월에 자주색에서 적색 의 꽃을 피우며, 키는 50-100cm 정도입니다. 이 식물은 생명력, 번식력, 재생력이 강해 특별한 관리가 필요하지 않으며,줄기를 잘라내어도 뿌리로 월동을 하는 자생력이 강한 식물입니다. 엉겅퀴는다양한 건강 효능 을 지니고 있어 전통적으로 약재로도 사용되어 왔습니다. 특히, 지혈작용이 뛰어나 소변출혈, 대변출혈, 코피, 자궁출혈, 외상출혈에 효과적이며, 폐결핵, 급성전염성간염에도 도움이 됩니다. 또한, 신경통과 요통 치료제로도 활용됩니다. 엉겅퀴 꽃으로 술을 어떻게 담그나요?엉겅퀴 꽃을 수확한 후 깨끗하게 세척하.. 여름 2025.0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