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과나무꽃

레드포드 안 2014. 4. 16. 15:11

 

흔히 모과(木瓜)도 과일인가? 라는말이있다

"어물전 망신은 꼴뚜기가 시키고 과일전 망신은 모과가 시킨다"는 속담은 모과가 못생겼다는

것을 풍자한 것으로 모과는 못 생긴것일수록 향기도 좋고 약효도 좋다고 한다

 

                                                                    

                                                                모과는 잘 생긴것보다는 못 생긴것이 향기가 더 좋다.

                                모과는 생것으로 먹을만한것이 못되지만 향이 좋와 술을 담가 먹으면 좋다

                             모과는 참외를 닮았으나 나무에 달렸기때문에 "나무참외"라는 별명을 갖고 있다

                                    5월에 피는 연분홍색의 꽃이 아름다워 화리목(花梨木)으로도 불리운다

 

                                       

                                                     모과나무를 처음 본 사람들은 네번 놀란다고 한다

                                      첫째는 못생긴 외모에 놀라고

                                      둘째는 노랗게 잘익은 모과의 향기에 놀라고

                                      셋째는 향기에 끌려 덜컥 한입 베어 물어보고 그  떫은맛에 놀라고

                                      넷째는 그맛이 시큼떨떨 하나 약효가 좋와 한약 재료로 쓰인다는 것에 놀란다고 한다

 

                                            

                                          중국이 고향인 모과나무는 우리나라 전역에 걸쳐 많이 심고 키운다

                              나무껍질이 매끈 하면서도 갈색의 얼룩 무늬를 띄고있어 잎이 떨어진 가을이나

                              겨울에도 아름다운 나무이다. 구름 무늬가 생기는 수피와 단정한 수형이 아름답기 때문에

                              사찰과 정원에 많이 심고 분재로도 키워 감상 하기도 한다.

 

                                          

                          모과나무는 얼룩 무늬 나무 줄기에 연분홍색의 꽃이 피고 가지에 달리는 열매는 낭만적이고

                          서정적이어서 정원수로 많이 심는다. 나무 재질은 색깔과 광택이 아름다워 장식재,조각재,

                          바이올린의 활, 양산 자루등에 이용한다

 

                                  

                                향기가 좋은 열매를 예전에는 자동차 뒷자석위에 바구니에 넣어 싣고 다니며 천연 방향제로도

                            많이 사용했다. 가을에 노랗게 익은 모과를 차나,술로 담가 먹었고,기침과 천식에 쓴다.

 

                                 

                                       한방에서는 열매를 명사(榠楂)로 부른다. 주로 오심,이질,토사,근육통에 다른 약재와

                                                                     처방 해서 쓴다.

 

 

모과나무의 전설

모과를  일명 "호성과"라고도 한다

옛날 한 도승이 산길을 가던중 계곡의 외나무다리를 건너게 되었다

중간쯤 건넜을때 다리 위로 길게 늘어진 모과나무 가지위에서 갑자기 큰 모과하나가

"툭" 떨어졌다.

도승이 깜짝 놀라 멈칫 하고보니 다리위에서 또아리를 틀고 혀를 날름거리며 도승을

노려보던 독사 한마리가 머리위로 떨어진 모과에 놀라 다리밑으로 도망을 가더라는 것이다

그래서 도승은 화를 면하게 되었는데 "성인(聖仁)을 보호 해준 열매"라고 호성과 라고도 부른다

 

 

                                                                                                   

 

 

                                                                           모과의 효능

                          본초강목에는 모과의 효능에 대해 이렇게 쓰여 있다

                          주독을 풀고, 가래를 제거하며, 속이 울렁거릴때 가라 앉히고,구워 먹으면 설사에 효험이 있다

                          기름에 적셔 머리를 빗으면 백발을 고칠수 있다.

 

                                     

                                                                                        모과로 만든 약선요리

                          껍질을 벗긴 모과를 푹 삶아 끊인후 꿀에 담가 삭인 "모과숙"

                          모과를 삶아 으깬후 받쳐서 꿀과 물을 탄 다음 되직하게 끊여낸 "모과정과"

                          모과를 말려 가루를 낸후 좁쌀이나 찹쌀 뜨물을 쑤워 생강즙을 섞은 "모과죽"

                          모과를 푹 고와서 껍질을 벗기고 속을 뺀 다음 가루로 만들어서 녹말을 섞고 꿀을 쳐서

                          끓여 만든 "모과떡" 등이 있다

 

 

모과의 향과 맛은 껍질에 있는 끈끈한 성분에서 나오므로 깨끗이 씻은후 껍질채 이용하는게 좋다

모과차는 2mm 가량의 두께로 얇게 썰어 말려 두었다가 생강 한쪽을 갈아 넣고 끓이면 홍차빛을 띈

모과차가 된다.

올 가을엔 한두개의 못생긴 모과라도 구해서 잘 갈무리 해두었다가 날씨가 추워지면

따듯한 모과차 한잔 마시며 건강 관리를 하는것도 좋으리라는 생각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