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

주황색 상사화가 흐드러지게 핀 정읍 내장사

레드포드 안 2018. 10. 9. 21:32


내장산 국립공원사무소는 2014년부터 내장산 백년대계 운동의 일환으로

자생 야생화인 주황색상사화 120만본을 내장사 탐방안내소에서 부터 내장사까지

탐방로를 따라 식재하였다



주황색상사화



내장사 탐방안내소에서 부터 주욱 이어지는 주황색상사화 꽃길






산책로 주변은 온통 주황색으로 물들어 있다



차도를 따라 심겨져 있는 주황색상사화



주황색상사화, 노랑상사화,배롱나무꽃.



가로수 그늘 밑으로 흐드러지게 핀 주황색상사화

































아직 미개화한 꽃대도 많이 보인다



포토죤에서 바라본 우화정폭포









일주문에서 오른쪽 산길로 접어들면 벽련암이 나온다



벽련선원



내장사는 근래에 관리 부실로 불에 타 소실되고 새로 지었으나

볼품이 없고 보기도 싫어 벽련암을 찾은것이다



옛지명이 내장사지 라고 불리는 고풍스런 벽련암 대웅전과 오층석탑



벽련암 전경



백련지에 서있는 관세움보살상



찾는 이가 드물어 고즈넉함을 즐기기엔 더 없이 좋은곳이다



소원동자



차한잔을 마시고 잠시 쉼을 한뒤 되돌아 가는길



배롱나무 그늘에도 주황색상사화는 피어난다









캠핑장 주변에는 그늘에 앉아 독서를 즐기는 사람들도 있다



독서 삼매경



2016년에 다시 지은 정자, 우화정의 반영이 아름답다






주황색상사화, 노랑상사화, 배롱나무



무 릇



                                                       백양꽃, 주황색상사화 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꽃

                             이 꽃을 보려고 아침 일찍 대전을 출발하여 전남 장성군 북하면 백양사에 도착, 

            백양사 대웅전,쌍계루, 천진암을 거쳐 천연기념물 제 153호인 비자나무숲까지 두루 돌아 보고

                                전북 순창군 복흥면에 자리한 전라북도 산림박물관을 관람 한뒤,

                             추령 고개마루에 있는  장승촌에서 장승및야생화 화원을 방문 관람후,

                     꼬불꼬불 추령을 넘어 정읍시 내장동에 있는 내장사탐방안내소에서 부터 벽련암까지

                           산책로를 따라 걸으며 주황색상사화를 감상하며 산을 오르고 내리다 보니

                                     피곤도 하거니와 허기가 져서 더 이상은 걸을 힘도 없기에

                          오늘의 주제, 백양꽃, 주황색상사화 탐방은 여기서 끝내고 귀가길에 오른다

                                                                    2018. 9. 1.

                                                                      레드포드

                   ※ 전남 장성군 백양사에서는 백양꽃이라 불리고

                       전북 정읍시 내장사에서는 주황색상사화라 불린다

                       왜 같은꽃을 가지고 이름이 서로 다르게 불릴까?